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FastAPI
- flask
- graphene-django
- for loop
- array
- numpy
- tkinter Radio 동적버튼
- Django-allauth
- GraphQL
- Django
- allauth
- python
- check_password
- SQL
- Today
- Total
객
[ 스크랩 ] [악성코드, 이렇게 움직인다#3]이메일, 아무거나 열지 마세요 본문
[악성코드, 이렇게 움직인다#3]이메일, 아무거나 열지 마세요. | ||
---|---|---|
안철수연구소 | 2010-03-09 | ||
2-3. 사회공학적 기법
사람은 가장 취약한 정보 개체로 일컬어지고 있다. 눈에 보이는 욕심에 마음이 동요되기도 하고, 권력에 의한 명령/지시를 여과없이 따르기도 하며, 세상의 관심사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약한 존재이기도 하다. 이렇듯 외부의 다양한 환경에 의해 동일한 사람임에도 각기 다른 행동(결과)을 취할 수 있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. 공격자가 이러한 인간의 취약성을 공격하여, 자신이 원하는 의도에 맞게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사회공학적 기법이 올해에도 그 위세를 떨치고 있다.
스팸봇 활동 꾸준
스팸 메일을 발송하는 기계라 할 수 있는 커널 스팸 봇의 피해 신고가 올 상반기에 급증했다. 커널 스팸 봇이란 커널 모듈로 존재하며 윈도우 주요 시스템 프로세스에 자신의 쓰레드를 생성하여 동작하는 악성코드를 말한다. ‘러스톡’(Win-Trojan/Rustock)이 대표적이다. <그림> 커널 스팸봇의 다른 악성코드 다운로더 기능
커널 스팸봇에 감염이 되면 다른 악성코드에 의한 2차, 3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식으로 해당 악성코드를 탐지 및 치료를 하기가 쉽지 않다.
2009년 ASEC을 통해 모니터링/분석된 대표적인 공격 사례는 다음과 같다. 사회공학적 공격 형태의 이메일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가 유독 많았던 한 해로 기억된다.
■ 보안업데이트 공지메일로 위장한 형태 - 아웃룩 업데이트, 컨피커 웜 보안패치
이메일을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대표적인 형태는 다운로드가 가능한 URL Link 혹은 첨부파일 형태로 전파하는 방식이다. 이메일에 첨부된 악성코드 파일 형식은 대부분 압축파일 형태(zip 등) 를 이용하고 있는데, 이는 실행파일 형식의 첨부파일이 이메일 보안 솔루션에서 쉽게 탐지되거나 차단이 가능할 수 있는 상황을 손쉽게 우회하기 위한 것이라 하겠다.
사회공학적 공격 기법 (이메일)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과정: <그림> 사회공학적 공격 기법 (이메일)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과정
이메일을 통해 전파된 악성코드 유형은 다음과 같다. 특히, 6월 경부터 한국으로도 유입되기 시작한 브레도랩 (Win-Trojan/Bredolab) 변형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해당 악성코드가 허위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를 설치하여 다수의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허위 정보를 제공한 뒤 해당 허위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. ■ 브레도랩 트로이목마 (Win-Trojan/Bredolab)
악성코드의 유포를 통해 공격자가 얻고자 하는 궁국적인 목표가 대부분 금전적인 이윤 추구에 있음을 상기 악성코드 유형을 통해 직잠할 수 있는 대목이다.
<그림> Antispyware 2010 허위 안티스파이웨어의 설치화면
<그림> Antispyware 2010 허위 안티스파이웨어의 허위 경고 화면
※ 본 원고의 저작권은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과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(ASEC)에 있습니다. | ||
|
'[심심풀이] > 읽고 넘어가자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오픈소스(OpenSource)로 나만의 안전한 작업공간을 만들다. (0) | 2010.04.19 |
---|---|
[스크랩] 중소기업을 위한 보안 솔루션, 통합위협관리(UTM) (0) | 2010.04.02 |
[스크랩] [전문가초대석 16] 인터넷전화 보안에 비상벨을 울리다. (0) | 2010.03.31 |
[스크랩] ">[악성코드,#5] 그녀를 믿지마세요! SNS를 통한 공격 (0) | 2010.03.31 |
[스크랩] 나의 개인정보, 공공의 정보가 되기까지 (0) | 2010.03.31 |